
관련 블로그 글
도메인을 등록하는 방법: Hosting.kr, Gabia, GoDaddy, Namecheap
도메인 등록은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주소를 만드는 첫 단계입니다. 아래에서는 국내 서비스인 Hosting.kr과 Gabia, 그리고 해외 서비스인 GoDaddy와 Namecheap을 통해 도메인을 등록하는 과정을 안내합니다. 두렵거나 어려운 게 아니에요.

잠깐! 도메인은 완전 새삥보다는 사용이력이 있는 중고? 도메인이 좋다고 알려져 있어요. 물론 과거 악성 활동에 사용된 적이 없어야겠죠. 때문에 도메인을 등록하기 전에 미리 검사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. 도메인을 등록하기 전에 먼저 이 도메인이 안전한지부터 알아볼까요?!
도메인 히스토리 살펴보는 방법
도메인 히스토리를 확인하는 것은 과거 소유자 정보나 이전 사용 내역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. 아래는 도메인 히스토리를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.

1. WHOIS 조회를 활용
WHOI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도메인 등록 정보와 현재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 방법:
- WHOIS 조회 사이트나 도메인 등록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WHOIS 조회 기능을 이용합니다.
- 검색창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.
- 등록 날짜, 만료 날짜, 소유자 정보 등을 확인합니다.
2. 도메인 히스토리 확인 도구 활용
- Wayback Machine (archive.org): 도메인의 과거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웹 아카이브입니다.
- 검색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이전에 저장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DomainTools (DomainTools)
- 과거 소유자 정보와 변경 기록을 제공하는 유료 도구입니다.
- 도메인 변경 이력, 네임서버 변경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구글 검색 활용
구글에서 도메인 이름을 검색하여 이전에 사용된 이력을 파악합니다.
- 검색어 예시: "site:example.com"
이를 통해 도메인과 관련된 과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도메인 블랙리스트 검사
도메인이 과거에 악성 활동에 연루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도구를 사용하세요.
- Spamhaus (spamhaus.org): 도메인이 스팸 활동에 사용된 적이 있는지 검사합니다.
- Google Safe Browsing (transparencyreport.google.com): 도메인의 보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5. 유의사항
- 도메인의 히스토리를 확인할 때 WHOIS 보호 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 일부 정보는 비공개일 수 있습니다.
- 도메인의 과거 사용 이력이 좋지 않은 경우(예: 스팸, 불법 사이트) SEO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도메인을 등록하기 전에 신중히 검토하세요.
도메인 히스토리를 확인하면 도메인의 과거 기록을 파악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필요한 도구와 방법을 활용해 확인해보세요!
자! 도메인 검사를 했다면 이제 도메인을 등록하러 가봐야겠죠?!


1. Hosting.kr에서 도메인 등록하기
① 도메인 검색
- Hosting.kr에 접속합니다.
- 메인 화면의 도메인 검색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.
- 사용 가능한 도메인이 표시됩니다.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세요.
② 도메인 등록
- 선택한 도메인의 옆에 있는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원하는 등록 기간(1년, 2년 등)을 선택합니다.
- 회원 가입 또는 로그인 후 결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③ 결제 및 완료
-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완료합니다.
- 결제가 완료되면 이메일로 도메인 등록 확인서가 전송됩니다.
- 도메인이 등록되면 관리 페이지에서 DNS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2. Gabia에서 도메인 등록하기
① 도메인 검색
- Gabia에 접속합니다.
- 화면 상단의 도메인 검색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검색합니다.
- 사용 가능한 도메인 목록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세요.
② 도메인 등록
-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한 후,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원하는 등록 기간을 설정하고,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(예: WHOIS 개인정보 보호 등).
③ 결제 및 관리
-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완료합니다.
- 등록 완료 후, Gabia 관리 페이지에서 도메인의 DNS 설정을 변경하거나 추가 관리가 가능합니다.

3. GoDaddy에서 도메인 등록하기
① 도메인 검색
- GoDaddy에 접속합니다.
- 홈페이지 중앙의 도메인 검색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한 뒤 Search 버튼을 누릅니다.
- 사용 가능한 도메인이 표시됩니다. 필요한 경우 다양한 추천 도메인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도메인 선택 및 등록
-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고 **Add to Cart(장바구니에 추가)**를 클릭합니다.
- 추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(예: 도메인 보호, 이메일 호스팅 등).
- Continue to Cart(장바구니로 이동)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③ 결제 및 완료
- GoDaddy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새 계정을 생성합니다.
-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도메인이 등록됩니다.
- 등록 후, 관리 페이지에서 DNS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4. Namecheap에서 도메인 등록하기
① 도메인 검색
- Namecheap에 접속합니다.
- 홈페이지 상단의 도메인 검색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Search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사용 가능한 도메인 목록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.
② 도메인 등록
- 선택한 도메인을 클릭한 뒤 Add to Cart(장바구니에 추가) 버튼을 누릅니다.
- 추가 옵션(WHOIS 보호 등)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Namecheap은 기본적으로 무료 WHOIS 보호를 제공합니다.
- Checkout(결제하기) 버튼을 클릭합니다.
③ 결제 및 완료
-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새 계정을 생성합니다.
-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완료합니다.
- 등록 완료 후, 관리 페이지에서 DNS 설정과 기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도메인 등록 시 유의사항
- 도메인 이름 선택: 간단하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선택하세요.
- 등록 기간: 보통 1년 단위로 등록하며, 장기 등록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WHOIS 개인정보 보호: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WHOIS 정보 숨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가격 비교: 국내와 해외 서비스를 비교해 가장 합리적인 가격을 선택하세요.

위 과정을 참고하면 국내외 주요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서 쉽게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. 다음 시리즈에서는 등록한 도메인을 Blogger나 Tistory에 연결하는 방법을 다루겠습니다. 😊

AI와 함께 성장하는 블로거들의 커뮤니티에 초대합니다!
최신 AI 트렌드부터 실전 활용법까지, 함께 배우고 나누며 성장해요.
지금 참여하시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세요!
AI를 활용하는 블로거들의 공간